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edwith
- 모두를 위한 컴퓨터 과학
- Java Programming
- ssafy
- 상속
- 이진법
- til
- 예외처리
- CS기초지식
- Computer Science
- 데이터베이스 모델링
- SW
-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
- 부스트코스
- CS50
- 모두를 위한 컴퓨터 과학(CS50)
- CS 기초
- 삼성청년SW아카데미
- ERD
- CS 기초지식
- w3schools
- 객체지향
- exception
- 관계형 데이터베이스
- Compute Science
- java
- WebProgramming
- SSAFY 9기
- 알고리즘
- 기초프로그래밍
- Today
- Total
Joslynn의 하루
[프로그래머스] 2019 카카오 겨울인턴십_호텔 방 배정_JAVA, C++ 풀이 본문
문제
"스노우타운"에서 호텔을 운영하고 있는 "스카피"는 호텔에 투숙하려는 고객들에게 방을 배정하려 합니다. 호텔에는 방이 총 k개 있으며, 각각의 방은 1번부터 k번까지 번호로 구분하고 있습니다. 처음에는 모든 방이 비어 있으며 "스카피"는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고객에게 방을 배정하려고 합니다.
- 한 번에 한 명씩 신청한 순서대로 방을 배정합니다.
- 고객은 투숙하기 원하는 방 번호를 제출합니다.
- 고객이 원하는 방이 비어 있다면 즉시 배정합니다.
- 고객이 원하는 방이 이미 배정되어 있으면 원하는 방보다 번호가 크면서 비어있는 방 중 가장 번호가 작은 방을 배정합니다.
예를 들어, 방이 총 10개이고, 고객들이 원하는 방 번호가 순서대로 [1, 3, 4, 1, 3, 1] 일 경우 다음과 같이 방을 배정받게 됩니다.
원하는 방 번호배정된 방 번호
1 | 1 |
3 | 3 |
4 | 4 |
1 | 2 |
3 | 5 |
1 | 6 |
전체 방 개수 k와 고객들이 원하는 방 번호가 순서대로 들어있는 배열 room_number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각 고객에게 배정되는 방 번호를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[제한사항]
- k는 1 이상 1012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- room_number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200,000 이하입니다.
- room_number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1 이상 k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- room_number 배열은 모든 고객이 방을 배정받을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.
- 예를 들어, k = 5, room_number = [5, 5] 와 같은 경우는 방을 배정받지 못하는 고객이 발생하므로 이런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.
[입출력 예]
kroom_numberresult
10 | [1,3,4,1,3,1] | [1,3,4,2,5,6] |
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
입출력 예 #1
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.
첫 번째 ~ 세 번째 고객까지는 원하는 방이 비어 있으므로 즉시 배정받을 수 있습니다. 네 번째 고객의 경우 1번 방을 배정받기를 원했는데, 1번 방은 빈 방이 아니므로, 1번 보다 번호가 크고 비어 있는 방 중에서 가장 번호가 작은 방을 배정해야 합니다. 1번 보다 번호가 크면서 비어있는 방은 [2번, 5번, 6번...] 방이며, 이중 가장 번호가 작은 방은 2번 방입니다. 따라서 네 번째 고객은 2번 방을 배정받습니다. 마찬가지로 5, 6번째 고객은 각각 5번, 6번 방을 배정받게 됩니다.
풀이 (JAVA)
import java.util.HashMap;
public class Solution {
// 방 정보 저장
static HashMap<Long, Long> map = new HashMap<Long, Long>();
// 빈 방을 찾는 메소드
static long findRoom(long roomNum) {
if (map.get(roomNum) == null) {
map.put(roomNum, roomNum + 1); // key: 원하는 방번호, value : 실제 배정될 다음 빈 방 번호
return roomNum;
}
// map.get(roomNum) 다음 방 번호 -> 비어있지 않으면, 찾을 때까지 다시 findRoom 호출
long emptyRoom = findRoom(map.get(roomNum));
map.put(roomNum, emptyRoom);
return emptyRoom;
}
static public long[] solution(long k, long[] room_number) {
long[] answer = new long[room_number.length];
for (int i = 0; i < room_number.length; i++) {
answer[i] = findRoom(room_number[i]);
}
return answer;
}
}
: HashMap → get(key); 메소드가 O(1)의 시간복잡도를 가지기 때문에 속도면에서 유리함
풀이 C++
#include <string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unordered_map>
using namespace std;
// 방 번호 = 키
unordered_map<long long, long long> Room;
vector<long long> answer;
long long find(long long num){
if(Room[num] == 0) {
Room[num] = num+1;
return num;
}
return Room[num] = find(Room[num]);
}
vector<long long> solution(long long k, vector<long long> room_number) {
for(int i=0; i < room_number.size(); i++){
long long num = room_number[i];
answer.push_back(find(num));
}
return answer;
}
: unordered_map이 해시구조를 가지고 있어 더 빠른 속도를 가짐
참고 자료
문제 해설
https://tech.kakao.com/2020/04/01/2019-internship-test/
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십 코딩 테스트 문제 해설
"2019년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십" 공개 채용을 위한 1차 코딩 테스트가 지난 2019년 11월 9일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총 4시간에 걸쳐 진행되었습니다. '19년 신입공채 1차 코딩 테스트 시에 7문제가
tech.kakao.com
유니온 파인드 - 알고리즘
https://ip99202.github.io/posts/%EC%9C%A0%EB%8B%88%EC%98%A8-%ED%8C%8C%EC%9D%B8%EB%93%9C(Union-Find)/
유니온 파인드(Union-Find)
유니온 파인드란? 유니온 파인드는 그래프 알고리즘으로 두 노드가 같은 그래프에 속하는지 판별하는 알고리즘이다. 서로소 집합, 상호 베타적 집합(Disjoint-Set)으로도 불린다. 노드를 합치는 Unio
ip99202.github.io
유니온 파인드 - 경로 압축
https://blogshine.tistory.com/103
[알고리즘] Union Find 알고리즘 : 경로 압축
기존에도 Union Find 알고리즘을 사용하기는 했지만, 경로 압축을 하고있지 않아 시간이 조금더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. 간단하게 경로압축을 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워 글을 써본다. Union & Find " data-ke
blogshine.tistory.com
자료 구조 - HashMap, TreeMap
https://tomining.tistory.com/168
HashMap, TreeMap 그리고 LinkedHashMap의 차이
최근 어떤 기회로 TreeMap과 HashMap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. 과거 Java 책에서 관련 내용을 본 적은 있으나 잘 기억이 나질 않았다.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HashMap을 주로 사용
tomining.tistory.com